신간소개 2025. 7. 21. 16:32

 

● 지은이: 조쉬(이주환)

● 페이지: 616

● 판형: 152 * 223

● 도수: 2도

● 정가: 27,000원

● 발행일: 2025년 8월 4일

● ISBN: 979-11-93229-34-7 93000

 

 

[교보문고] [예스24] [알라딘]

 

01234

_도서 내용

 

AI는 이제 LLM을 넘어, ‘에이전트의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이 책은 단순한 개발자용 튜토리얼이나 최신 트렌드 모음이 아니다. LangGraph, MCP, A2A 같은 기술 조각들을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프레임워크와 프로토콜이라는 핵심 축을 중심으로 에이전트 생태계 전체를 구조적으로 해석한다.

130여 편의 최신 에이전트 관련 논문에서 실전 응용에 꼭 필요한 개념을 선별해, 도표와 그림으로 쉽게 재구성하고 한글로 번역하여 수록했다. 논문의 깊이와 실무의 현실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 이론과 실전을 함께 잡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기획자, 개발자, PM, 비즈니스 리더 등 각 역할에 맞춘 실전 적용 전략도 풍부하게 제시된다. 실리콘밸리에서 세계 최초로 API GUI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을 상용화하고, 국내외 대기업들과 협업해온 저자의 경험이 고스란히 담겼다.

모델의 성능이 빠르게 바뀌고, 매주 리더보드가 새로 업데이트되더라도 걱정할 필요 없다. 이 책은 기술의 흐름에 흔들리지 않고 에이전트를 중심으로 한 생태계의 근본 원리를 파악하고, 스스로 학습 전략을 세우고 적용하는 힘을 길러준다.

에이전트 기술을 처음 접하는 사람부터, 직접 도입을 고민하는 실무자까지이 책 한 권이면 에이전틱 AI의 본질과 미래, 실전 적용법까지 모두 연결된다. 지금, AI 전환의 주도권을 쥘 준비를 하라.

 

_대상 독자

* 기술과 기획의 경계를 넘나드는 실무자들

  MCP, A2A가 뭔지는 들어봤지만 실무 적용은 막막한 실무자

  LangGraph MCP PoC를 하고 있지만 전체 로드맵이 필요한 개발자/PM

  챗봇과 RAG는 익숙하지만, MAS와 에이전트 루프, MCP 구조가 궁금한 기획자

  내부 시스템을 에이전트 기반으로 자동화하거나 유저 맞춤화하고 싶은 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서 한 단계 도약해 에이전트 설계와 협업 구조를 익히고 싶은 실무자

* 서비스 전략과 DX를 고민하는 리더들

  AI 기반 신규 서비스를 기획하거나, 기존 SaaS/CS 업무툴을 에이전트화하려는 사업 개발 담당자

  엔터프라이즈 DX 프로젝트에 에이전트 도입을 고려하는 기업 AX 담당자

  B2B 에이전트 솔루션을 만들거나, 컨설팅 서비스로 확장하려는 스타트업 창업자/CTO

* 기술 흐름을 구조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의사결정자

  에이전트 기술의 방향성과 산업 변화를 통찰하고 싶은 정책 결정자

  AI 및 에이전트 기반 스타트업을 평가하거나 전략을 검토하는 벤처 투자자

  고객사의 DX 요구에 맞춰 에이전틱 전략과 기술 프레임을 수립해야 하는 컨설팅 전문가

* 공부의 방향을 잡고 싶은 학습자/연구자

  GPT 이후의 기술 흐름과 에이전틱 AI의 원리를 학습하고 싶은 대학생/연구자

  빠르게 변하는 모델 성능과 리더보드에 흔들리지 않고 근본을 배우고 싶은 독자

 

 

_목차

 

프롤로그: 통사론에서 에이전트까지도스, 코퍼스, 그리고 미래

 

Part I. 에이전틱 AI의 탄생과 흐름

 

1. 에이전트 생태계의 태동지능의 진화, 경험의 재편

1.1. 폭풍의 서막, AI 러시

1.2. Agent vs App: 앱의 종말, 아니면 진화?

1.3. Agentic UX: 사용자 기대와 인터페이스 변화클릭에서 대화로, 대화에서 행동으로

 

2. 챗봇 이후의 세계에이전트의 구조와 작동 원리

2.1. 챗봇을 넘어 행동하는 에이전트로: 한계의 자각과 새로운 시작

2.2. 에이전트 해부학: LAMT — 지능(L), 자율성(A), 기억(M), 행동(T)

2.3. 에이전트들의 협업: MAS — 집단 인공지능의 출현

 

 

Part II. 에이전트 테크 스택

 

3.  에이전트 프레임워크협업하는 AI 설계 전략

3.1. 에이전트 구축의 첫걸음

3.2. 에이전트 프레임워크의 개념과 필요성

3.3. 에이전트 흐름 제어: 선형 구조와 비선형 구조

3.4. 개발자가 설계하는 에이전트 루프의 구성 원리

3.5. 다중 에이전트로의 확장: 실무적 첫걸음과 프레임워크 연계

3.6. MAS의 난제와 해결방안

 

4. 에이전트 프로토콜 – API, MCP, A2A 통신의 진화

4.1. 서론: 에이전트, 세상과의 연결고리가 필요하다

4.2. API: 에이전트의 '손과 발'이자 세상으로 열린 창

4.3. API 연동의 현실적 과제와 표준화 노력

4.4. 에이전트 간 통신(A2A) 프로토콜의 등장

4.5. MCP: 분산된 스킬 생태계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

4.6. Google A2A: 자율 에이전트 협력 생태계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

4.7. 다른 주요 프로토콜 접근 방식들 및 개요

4.8. 결론: 프로토콜, 에이전트 생태계의 대동맥

 

 

Part III. 에이전트 경험

 

5. 에이전틱 라이프일상의 재구성

5.1 에이전틱 라이프란 무엇인가?

5.2 에이전틱 라이프 구현의 두 날개: 초개인화와 능동성

5.3 에이전틱 디바이스들: 삶의 모든 공간에서 

- AI PC, AI Phone, AI Car, AI Home

5.4 심리스 라이프: 시공간을 넘나드는 연속적인 경험과 미래 일상

5.5 에이전틱 라이프의 명암

 

6. 에이전틱 DX – 업무의 재구성

6.1 에이전틱 DX의 핵심 가치(Core Values)

6.2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사전 준비

6.3 PoC 설계 및 실행

6.4 에이전틱 DX 시스템 구현, 통합 및 고도화

6.5 에이전틱 DX의 비전, 도입 전략 및 과제

 

 

Part IV. 에이전틱 시대

 

7. 에이전트 공생슈퍼휴먼

7.1 공생의 조건: 지능의 차이와 증강

7.2 '슈퍼휴먼'의 등장: 잠재력의 재정의

7.3 공생의 그림자: 에이전트 시대의 GELSI 딜레마

- Governance, Ethics, Legal, Social  

7.4 GELSI 기반 책임 있는 공생 로드맵

7.5 미래의 인간: 에이전틱 시대의 역할과 역량

7.6 결론: 에이전틱 시대, 공생을 통한 인류의 새로운 도약

 

8. 부록 - AX(에이전틱 전환) 플레이북

 

에필로그에이전트인간을 확장하는 여정

 

 

주요 내용

 

LLM이 엔진이라면 에이전트는 완성차!

이제는 목적지만 말하면 되는 시대.

프롬프트를 넘어서, 행동하는 AI '에이전트'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GPT는 시작일 뿐이다!

진짜 사용자 경험을 만드는 것은 모델이 아닌, 에이전트다.

대화에 머물던 AI는 이제 도구를 호출하고, 협업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존재가 된다.

 

에이전트 생태계를 기술·철학·비즈니스 관점에서 풀어낸 최초의 종합서

LangGraph, MCP, MAS, A2A 등 최신 기술을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에이전트 중심의 새로운 AI 패러다임이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지 구조적으로 조망한다. 단순 튜토리얼이나 일시적 트렌드를 넘어, "에이전트는 어떻게 세상을 재구성하는가"라는 근본 질문에 답한다.

 

실리콘밸리 협업 기술자의 MAS 실전기

7년간 인간 협업 시스템을 설계해온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창업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MAS)의 구조와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실제 구현 가능한 형태로 제시한다.

 

언어모델에서 에이전트까지, 문과 출신 창업자의 여정

GPT 이전부터 언어 모델을 탐구해온 문과 출신 저자의 시선을 통해,

기술 중심의 담론을 넘어 AI가 인간 사고와 협업을 어떻게 바꾸는지에 대한 철학적 통찰을 전한다.

 

DX·AX 실무자를 위한 전략 가이드

한국과 미국의 대기업들과 함께한 DX AX 프로젝트 경험을 바탕으로, 기획자, PM, 개발자, 리더가 각자의 역할에서 에이전트 생태계에 참여하는 방법을 명확하게 안내한다.

 

에이전틱 네이티브 시대를 위한 생존 전략서

AI는 더 이상 연구실의 주제가 아니다. 이 책은 학생, 직장인, 창업가, 리더 모두를 위한 에이전트 시대의 실전 지침서다. 일상과 업무, 제품과 조직이 에이전트 중심으로 재편되는 시대의 생존 전략을 담았다.

 

 

_프롤로그에 발췌

 

[실리콘밸리에서 에이전트를 현실로 만들다]

2018년 말, 나는 두 번째 엔터프라이즈 SaaS 스타트업을 창업했고, 이듬해인 2019 AI를 프로덕트 로드맵에 포함시키는 과감한 결정을 내렸다. 이후 LLM 기 술 발전에 발맞춰 API GUI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에이전트 시스템 개발에 착수했다. 2023년에는 기업용 개인화 에이전트 시스템의 베타 버전을 출시했고, 2024년에는 우리가 개발한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을 글로벌 IT 기업과 100만 라이 센스 규모로 상용화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내가 아는 한, 이 정도 규모의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을 상용화한 것은 세계 최초 사례였다.

당시에는 에이전트 프레임워크들과 다중 에이전트 기술의 성숙도가 안정성, 확장 성, 표준화 측면에서 모두 초기 단계였고, 구글의 A2A나 앤트로픽의 MCP 같은 프로토콜조차 등장하기 전이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을 고려할 때, 수십 여개의 에이전트들이 수백 개의 스킬을 상용화 수준에서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행하는 독자 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제 계약으로 연결시킨 것은 극히 이례적이었다. 극한의 어려움을 이겨내고 기적을 만들어준 전설 같은 팀원들에게 깊은 감사를 전한다.

 

[이 책을 쓰는 이유, 그리고 여정으로의 초대]

이 책은 도스와 서예를 함께 배우던 소년이, 언어의 구조와 의미를 고민하다 촘스키 교수를 만나고, 실리콘밸리에서 두 번의 창업을 거쳐 마침내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 상용화에 이르기까지, 좌충우돌 여정에서 얻은 흔적과 통찰을 담은 기록이다. 동시에, 곧 펼쳐질에이전트 생태계시대를 맞이하기 위한 전략적 입문서이기도 하다.

에이전트를 직접 개발하는 프로그래머, AI로 비즈니스 혁신을 고민하는 리더와 실무자, 그리고 다가올 에이전트 시대를 이끌어갈 미래의 주역들에게 이 책이 작은 나침반이 되기를 바란다. 에이전트를 만들고, 적용하며, 함께 살아가는 지혜를 얻는 데 보탬이 되고자 한다.

우리가 슈퍼휴먼이 된다는 것은 단순한 기술적 생산성 향상을 넘어, 삶의 양식을 재편(reconfiguring)하여 AI가 대체 못할 인간다움을 새롭게 정의하는인간됨의 재 구성(re:Humanizing)’ 시대를 여는 일이라 믿는다.

이 여정을 함께 떠나주시길 바란다.

 

써니베일에서, 조쉬

 

 

_저자 소개

조쉬(이주환)

 

샌프란시스코 소재 AI 스타트업 Swit Technologies Inc.의 창업자이자 대표.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BU Questrom School of Business KIC Start MassChallenge Stanford University Design Thinking 과정을 수료했다.
Swit
은 부서 간 협업, 앱 연동, 업무 자동화를 위한 SaaS 기반 생산성 플랫폼으로, 사람을 위한 도구를 만들어온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2024 Google Cloud Next ’24에서 기업용 개인화 AI 어시스턴트를 발표했고, Google Cloud 공식 블로그 ‘AI startups at Next ’24’에 주목받는 스타트업으로 소개되었다. 이후 같은 해, 세계 최초로 API + GUI 하이브리드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을 대규모로 상용화했다.
어릴 적 도스 환경에서 코딩을 배우고, 늦게 목회를 시작한 아버지를 돕기 위해 신학 원서를 사전 하나로 번역하던 소년은 언어 구조와 의미 기반 학습에 매료되며 자랐다. 성인이 되어서는 corpus, syntax, collocation, n-gram 등 언어처리 도구와 초기 언어 모델을 활용해 영어와 성경 원어를 탐구했고, 이 경험은 기계가 자연어 문장을 해석하고 탐색할 수 있다는 직관으로 이어졌다.
2012
, 그는 보편 문법과 의미 기반 데이터를 결합한 문장 분석 및 생성 시스템을 구상하고, 이듬해 MIT에서 보편 문법 이론을 집대성한 노암 촘스키 교수를 직접 만나 자연어 문장 분석 및 검색 엔진 아키텍처를 발표했으며, 이후 이 경험을 계기로 창업에 나서 본격적인 시스템 개발에 착수했다.
이 책은 기술과 언어, 철학과 생태계를 아우르며, 그가 걸어온 좌충우돌 스타트업 여정을 바탕으로 탄생한 실무 중심의 전략서다. 현재는 실리콘밸리 서니베일(Sunnyvale)에서 아내, 두 딸, 아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_상세 이미지

 

                                                                                                _

posted by 로드북
:
오탈자 정보 2025. 7. 21. 16:31
posted by 로드북
:
신간소개 2025. 7. 21. 16:28

 

 

 

● 지은이: 노아론

● 페이지: 464

● 판형: 188 * 257

● 도수: 1도

● 정가: 30,000원

● 발행일: 2025년 7월 28일

● ISBN: 979-11-93229-37-8 93000

 

 

[교보문고] [예스24] [알라딘]

01234

_도서 내용

해커톤은 국제 규모의 대회부터 기업이나 단체가 기획하는 소규모 해커톤까지 매년 수백 개가 넘게 열립니다. 하지만 어떤 해커톤이든 공통점이 있죠. 바로짧은 시간 안에, 팀을 이뤄, 결과물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책은 수많은 해커톤에 참여하고 국제 규모의 해커톤에서 입상한 저자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10개의 프로젝트 예제를 통해 아이디어 발상, 기획, 구현, 발표까지 실제 해커톤의 과정을 자세하게 알려줍니다. 해커톤이 처음인 사람도, 몇 번 경험해봤지만 항상 끝까지 완성하지 못했던 사람도, 이 책을 통해 해커톤의 흐름을 익히고 실력을 다질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혼자서 공부했다면, 이제는 팀과 협업하며 실제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해커톤에 도전해보세요.

 

_대상 독자

1. 혼자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다 늘 완성하지 못했던 개발자
기획도, 디자인도, 마무리도 혼자 하려니 지치기만 해요. 팀이랑 해보면 다를까요?”

2. 포트폴리오가 부족해 고민 중인 컴공 전공 대학생
코딩 공부는 했지만, 실전 프로젝트 경험이 없어 자신이 없어요.”

3. 아이디어는 많은데 실제로 구현을 못 해본 스타트업 지망생
기획은 자신 있는데 개발자랑 제대로 일해본 적은 없어요.”

4. 프론트만’ ‘백엔드만하다 협업 감각을 잃은 주니어 개발자
혼자만 파다가 팀 프로젝트 하면 멘붕 와요. 실전 협업 감각을 다시 익히고 싶어요.”

5. 신입 디자이너로서 개발자와 함께 일하는 법을 배우고 싶은 사람
디자인만 하다 보니 개발자랑 말이 안 통해요. 함께 만들어보며 진짜 협업이 뭔지 배우고 싶어요.”

 

지금 당장 해커톤에 참여해 보세요.

 

_목차

 

프롤로그
Chapter 1_
해커톤을 시작하겠습니다
1.1
해커톤이란 무엇인가요
_
해커톤의 세 가지 기원
_
대표적인 몇 가지 해커톤
1.2
해커톤에서 무엇을 하나요
1.3
팀 빌딩하기
1.4
나와 맞는 팀 찾기
1.5
팀 내 역할 나누기
1.6
팀 빌딩을 마치고

 

Chapter 2_ 거래하기 안전한 SNS 마켓 만들기
2.1
아이디어 도출하기
_
마인드 맵 기법
_
스캠퍼 기법
_
스마트 기법
2.2
구현 기능 범위 정하기
2.3
주어진 상황을 고려한 기술 스택 정의하기
SQLite
를 사용하는 이유
2.4
서비스 아키텍처 구성하기
2.5
플라스크 프로젝트 구조 정하기
2.6
데이터베이스 모델 정의하기
2.7
구현에 앞서 REST API 스펙 작성해서 공유하기
2.8
완성된 프로젝트 실행하기

 

Chapter 3_ 주변 대학의 학생식당 메뉴 모아보기
3.1
아이디어 도출하기
_
마인드 맵 기법
_
스캠퍼 기법
_
스마트 기법
3.2
구현 기능 범위 정하기
3.3
주어진 상황을 고려한 기술 스택 정의하기
3.4
깃허브 액션 사용하기
3.5 FastAPI
프레임워크 사용하기
3.6
서비스 아키텍처 구성하기
3.7
데이터베이스 모델 정의하기
3.8 FastAPI
프로젝트 구조 정하기
3.9 REST API
스펙 설계하기
3.10
프로젝트 실행하기

 

Chapter 4_ 일주일 치 구내식당 식단표, 하루 단위로 확인하기
4.1
아이디어 도출하기
_
마인드 맵 기법
_
스캠퍼 기법
_
스마트 기법
4.2
구현 기능 범위 정하기
4.3
당일 점심 메뉴만 볼 수 있는 식단표 만들기
_
프로젝트에 도입할 OCR API 선택하기
식단 정보를 받을 메신저 선택하기
4.4
주어진 상황을 고려한 기술 스택 정의하기
4.5
서비스 아키텍처 구성하기
4.6 API
스펙 설계하기
4.7
프로젝트 구성 및 실행하기

 

Chapter 5_ 주말에 갈 캠핑장 찾기
5.1
아이디어 도출하기
_
마인드 맵 기법
_
스캠퍼 기법
_
스마트 기법
5.2
구현 기능 범위 정하기
5.3
필요한 OpenAPI 찾아보기
5.4
서비스 아키텍처 구성하기
5.5 OpenAPI 3.0
으로 API 스펙 설계하기
5.6 API
게이트웨이 구성하기
5.7
프로젝트 실행하기
5.8 OpenAPI
호출 수 최적화하기

 

Chapter 6_ 달리기 측정 앱 간의 기록 연동하기
6.1
아이디어 도출하기
_
마인드 맵 기법
_
스캠퍼 기법
_
스마트 기법
6.2
구현 기능 범위 정하기
6.3
주어진 상황을 고려한 기술 스택 구성하기
6.4
서비스 아키텍처 구성하기
6.5 S3
에 파일이 저장된 경우 람다 실행하기
6.6 API
설계하기
6.7
프로젝트 설정하고 실행하기
6.8
연동 진행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 추가하기
6.9
여러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젝트로 고도화하기
6.10
부록 - 필자가 작성한 사용자 스토리

 

Chapter 7_ 구글 드라이브의 공유 문서함 초대 자동화하기
7.1
아이디어 도출하기
마인드 맵 기법
스캠퍼 기법
스마트 기법
7.2
구현 범위 설정하기
7.3
구글 드라이브 공유 권한 편집 API 사용하기
7.4
주어진 상황을 고려한 기술 스택 구성하기
7.5
서비스 아키텍처 구성하기
7.6 API
설계하기
7.7 API
게이트웨이 구성하기
7.8
권한 부여 현황 리포트 발송 구현하기
7.9
이벤트 브리지로 일정 시각마다 이메일 발송하기
7.10
프로젝트 설정 및 실행하기
7.11
부록 - 필자가 작성한 사용자 스토리

 

Chapter 8_ 1인 가구의 장 함께 보기
8.1
아이디어 도출하기
마인드 맵 기법
스캠퍼 기법
스마트 기법
8.2
구현 기능 범위 정하기
8.3
주어진 상황을 고려한 기술 스택 정의하기
8.4
서비스 아키텍처 구성하기
8.5
람다 함수 간 데이터 전달하기
8.6 REST API
스펙 설계하기
8.7 API
게이트웨이 구성하기
8.8
프로젝트 설정 및 실행하기

 

Chapter 9_ 즐겨보는 블로그 글 모아보기
9.1
아이디어 도출하기
마인드 맵 기법
_
스캠퍼 기법
_
스마트 기법
9.2
구현 범위 설정하기
9.3 XML
로 글을 제공하는 방식 알아보기
9.4
주어진 상황을 고려한 기술 스택 정의하기
9.5
서비스 아키텍처 구성하기
9.6 API
설계하기
9.7
프로젝트 실행하기
9.8
부록 - 필자가 작성한 사용자 스토리

 

Chapter 10_ 한 주간의 목표 세우기
10.1
아이디어 도출하기
_
마인드 맵 기법
_
스캠퍼 기법
_
스마트 기법
10.2
구현 범위 설정하기
10.3
주어진 상황에 맞는 기술 스택 구성하기
10.4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모델링하기
10.5
서비스 아키텍처 구성하기
10.6 API
설계하기
10.7
프로젝트 실행하기
10.8
부록 - 필자가 작성한 사용자 스토리

 

Chapter 11_ 주식 매수 시점에 따른 현재 수익 조회하기
11.1
아이디어 도출하기
_
마인드 맵 기법
_
스캠퍼 기법
_
스마트 기법
11.2
구현 범위 설정하기
11.3
주식 가격 데이터 조회 API 찾기
11.4
주어진 상황에 맞는 기술 스택 구성하기
11.5
프로젝트 아키텍처 구성하기
11.6 API
설계하기
11.7
프로젝트 실행하기
11.8
부록 - 필자가 작성한 사용자 스토리

 

Appendix A_ 프로젝트에 필요한 개발환경 구성하기
_A.1
깃허브 데스크톱으로 프로젝트 리포지토리 클론하기
_A.2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설치하기

Appendix B_ 프로젝트를 발표하겠습니다
_B.1 STAR
기법을 사용합니다
_B.2
우리가 진행한 프로젝트로 STAR 기법을 준비합니다

에필로그
찾아보기

     

 

 

 

주요 내용

 

10개의 해커톤 프로젝트로 배우는 소프트웨어 개발

빠르게 재밌게 프로덕트를 만드는 즐거운 여정

 

해커톤은 단기간에 팀을 구축하고 협업하여 핵심 아이디어를 빠르게 검증하고, 본질적인 가치를 전달할 수 있는 최소 기능 제품(MVP)를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혼자 공부하는 것을 탈피하여 함께 개발하는 즐거움을 느껴보세요.

 

이런 독자를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고 개발 프레임워크도 어느 정도 익혔지만, 협업 경험이 없는 독자를 위한 책입니다. 컴퓨터 공학 분야의 대학생이거나 혼자서 토이 프로젝트를 해보았고, 이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제한된 시간 동안 의미 있는 결과물을 만들어보고 싶은 분들께 특히 추천합니다.

 

주요 특징

       10개의 해커톤 프로젝트를 아이디어 구상부터 구현까지 구체적인 과정을 전부 수록하였습니다.

       SNS 마켓부터 캠핑장 찾기, 달리기 앱 연동, 구글 드라이브 자동화까지 다양한 주제의 프로젝트에서 아이디어 도출, 사용자 스토리 작성, API 문서 작성을 포함한 설계를 다룹니다.

       클라우드의 서버리스 아키텍처를 적극 활용합니다. 복잡한 서버 환경을 손쉽게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들을 안내합니다.

 

무엇보다 이 책을 통해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는 '본질을 잊지 말자'는 것입니다. 해커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여러분의 아이디어가 가진 고유한 가치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입니다. 로그인이나 회원가입 같은 부가적인 기능에 시간을 쏟기보다는, 여러분만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핵심 기능에 집중해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이런 깨달음을 얻은 후부터 해커톤에서 형태를 갖춘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었고 우승이라는 짜릿한 순간도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_프롤로그 중에서

 

 

_저자 소개

백엔드 개발자로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만드는 일에 깊은 가치를 두고 있습니다. 대학 시절부터 실제 사용자가 쓰는 제품을 직접 개발·운영해 본 경험이 있으며, 일일 사용자 수 700명 이상의 서비스를 기획, 구축, 배포하며 ‘기술이 일상에 스며드는 과정’의 매력을 몸소 느꼈습니다.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백엔드 개발자의 길을 걸으며 리멤버앤컴퍼니에서 리멤버 서비스의 서버 개발을 담당했고, 대규모 사용자 기반의 서비스 아키텍처 설계와 안정적인 운영에 참여해 왔습니다. 트래픽 급증 상황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성능 개선으로 ‘개발 이후의 운영’까지 책임지는 개발자로 성장해 왔습니다.

 

특히 해커톤에 꾸준히 참여하며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빠른 개발 역량, 그리고 아이디어를 프로덕트 수준으로 빠르게 끌어올리는 실행력을 길러왔습니다. 정션 X 해커톤에서 2위를 수상한 경험을 비롯해 다양한 해커톤을 통해 실전에서 검증된 문제 해결력과 협업 경험을 쌓으며 개발자로서 폭넓은 시야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오픈소스 커뮤니티 활동에도 꾸준히 참여하며 Redis, AWS SDK 등 여러 프로젝트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깃허브를 통해 직접 제작한 유틸리티 라이브러리, 서비스 인프라 개선 도구, 개발 워크플로우 자동화 스크립트 등을 공유하며, 동료 개발자들이 더 나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을 만드는 데 보람을 느끼고 있습니다.

 

끊임없이 학습하며 기술을 서비스에 적용해 사용자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 매일매일 노력하고 있습니다.

 

깃허브:  https://github.com/roharon

 

 

 

_상세 이미지

 

                                                                                                _

posted by 로드북
:
오탈자 정보 2025. 7. 21. 16:26
posted by 로드북
: